정보
기면증 증상 원인 알아보기
기면증 증상 원인 알아보기
시도 때도 없이 밀려오는 졸음 때문에 고생하고 계십니까?
겨울 전후 환절기에 특히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분들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수면장애는 불면증, 기면증,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과수면증 등에 의해 발생하는데요.
오늘은 잠이 과도하게 쏟아져 특히 낮에도 졸음이 몰려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주는 기면증 질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보] - 잠 잘오는 방법으로 불면증 극복하기 12
잠 잘오는 방법으로 불면증 극복하기 12
잠 잘오는 방법으로 불면증 극복하기 12 요즘 밤에 잠 못이루시는 분들 많으시죠? 저도 불안한 마음과 온갖 잡생각으로 인해 밤에 잠드는게 너무 어렵습니다. 새벽내내 뒤척이다가 결국 출근을
lupihome.tistory.com
기면증이란?
기면증이란 일종의 수면질환으로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잠에 빠져드는 ‘낮 졸림증’입니다.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했어도 낮에 일상생활을 하다가 갑자기 극심한 졸음이 밀려와 잠에 들게 됩니다.
기면증은 주간에 각성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뇌 호르몬 하이포크레틴(hypocretin)의 분비가 부족하여 생기는 질환으로 자신도 모르게 잠이 들어 생활의 불편이 많고 감정 변화와 함께 근육의 긴장이 풀려 다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질환입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면증을 단순 졸음으로 여기고 치료에 소극적이라는 것입니다.
기면증을 방치할 경우 졸음운전 등으로 인해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심각성을 깨우쳐야 합니다.
기면증 원인
기면증은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중추 신경계의 부분적인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하이포크레틴의 부족이 한 원인으로 밝혀졌고, 유전적인 영향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면증은 흔히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년기에 발병합니다. 대부분 30세 이전에 발병한다고 합니다.
청소년기 기면증은 학습장애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하셔야 합니다.
자신도 부모도 확인하기 어려운 과다수면이나 기면증 등 낮에 졸음이 쏟아지는 수면장애는 꼭 치료해야 하는 질환이고, 치료 가능한 질환이라고 합니다.
평소 수업시간에 1주일에 4번 이상 졸거나, 낮잠을 2~3시간 잔다면 과다수면이나 기면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기면증 증상
■ 과도한 주간 졸림증
주간 졸림증은 거의 모든 환자에서 나타나는 기본 증상입니다.
주로 호소하는 증세는 항시 피곤하고 졸리다는 것입니다.
순간적으로 거부할 수 없는 잠에 빠져듭니다.
자고 나면 일시적으로 개운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말하다가도, 글씨를 쓰다가도, 심지어 잠이 드는 것은 짧고 깨면 개운하지만 잠깐뿐 정신이 흐릿흐릿한 상황이 자주 오므로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습니다.
야간에는 증상이 완화되는 게 특징입니다.
■ 특발성 과수면증 타입의 주간 졸림증